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8)
SetEdit(Settings Database Editor) 앱으로 카메라 무음 설정 잘 알다시피 국내에서 판매하는 모든 휴대폰은 카메라 촬영음이 강제된다. 지난 2004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휴대폰 카메라 촬영음 표준안'을 제정해 촬영 시 반드시 60dBA ~ 68dBA의 촬영음을 내도록 조치했다. 이러한 카메라 폰 촬영음은 별도의 법률에서 강제하는 것은 아니나 국내에서 영업하는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이를 모두 따르고 있다. (무음카메라 사용하는 것 자체는 불법 행위는 아니다.) 개인적으로 '무음 카메라 앱'들이 널려 있어서 실효성에도 의문이 들고 이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는 국가는 대한민국이랑 일본 외에는 실질적으로 없다. 그리고 무음 카메라를 이용해 공익신고(안전신문고 불법주정차 신고 등)를 하는 등 합법적이고 도덕적인 영역에서 사용하려는 소비자도 있는 만큼 무음 카메라..
[Google/Google Sheets]필터 보기 기능 구글 시트에는 기본적인 필터 기능 외에 '필터 보기'라는 기능이 있다. 이는 미리 원하는 필터 조건들을 지정해둘 수 있는 기능으로 필터 조건이 여러 개일 경우 일일이 필터 조건을 바꾸는 번거로운 작업을 줄일 수 있는 기능 중 하나이다. 필터 보기 기능 [데이터] - [필터 보기] - [새 필터 보기 만들기] 순서로 클릭한다 해당 필터 보기의 이름과 필터 적용 범위를 자신의 의도에 맞게 입력한다. (여기서는 위반유형 필드가 '소화전', 차량유형이 '승용차'이고, 과태료부과여부가 'Y'인 셀을 보여주는 필터를 적용한다.) 각 필드별로 자신의 의도 한대로 필드 조건을 설정한다. (위반유형 - '소화전', 차량유형 - '소화전', 과태료부과여부 - 'Y') 위 과정들을 마치고 [데이터] - [필터 보기]로 들어..
[Google/Google Sheets]셀 참조 방식 구글 시트나 엑셀 등 대부분의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들은 동일하게 상대 참조, 절대 참조, 혼합 참조가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다만 한 가지 차이점은 구글 시트는 엑셀과 달리 '열린 참조'라는 개념이 존재한다. 상대 참조와 절대 참조, 혼합 참조 '상대 참조'는 수식을 다른 셀로 복사할 때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참조가 변경되는 참조 방식이다. [예] =SUM(C7:D7) '절대 참조'는 셀을 복사하는 위치에 상관없이 고정된 셀을 참조하는 방식이다. 상대 참조인 상태에서 [F4]를 누르면 절대 참조로 변경된다. (참고로 고정된 행이나 열은 앞에 '$' 표시가 붙는다.) [예] =SUM($C$20:$D$20) '혼합 참조'는 행이나 열 중 한쪽 방향만 상대 참조 또는 절대 참조로 설정할 수 있는 방식이다. 절..
[자격증/CSTS]CSTS 합격 후기 올해(2022년) 11월 19일에 CSTS 자격증(일반등급) 시험을 보고 12월 2일에 합격 통보를 받았다. 그리고 자격증도 같은 달 14일에 받아서 이때 합격 후기를 작성하려 했지만 계속 까먹어서 지금와서야 작성하게 되었다. CSTS 자격시험 정보 CSTS는 소프트웨어 테스트 전문가(CSTS, Certified Software Test Specialist) 자격증의 약자로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TTA, 이하 '협회')에서 주관하는 국가공인 민간자격[일반등급(FL: Foundation Level)만 국가공인 민간자격이며, 일반등급보다 상위 단계인 고급등급(AL: Advanced Level)은 '등록민간자격'임]이다. TTA 아카데미 홈페이지의 자격시험 항목에 있는 내용을 언급하면 "소프트웨어 테스트에 대한..
[자격증/CSTS]알파 테스트와 베타 테스트 소프트웨어 테스트를 단계별로 분류하면 컴포넌트(Component) / 단위(Unit) 테스트(이하 '컴포넌트 테스트'), 통합(Integration) 테스트, 시스템(System) 테스트, 인수(Acceptance) 테스트가 있다. 여기서 컴포넌트 테스트는 개별 모듈을 대상으로 테스트 하고, 통합 테스트는 단위 모듈들이 서로 잘 통합되는지를 테스트 하고, 그 다음 시스템 테스트에서는 전체 시스템을 대상으로 하여 요구사항에 알맞게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인수 테스트도 시스템 테스트와 비슷하게 전체 시스템을 대상으로 하여 테스트를 한다는 점이 같으나 고객이나 일반 사용자의 관점에서 테스트를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한다. 인수 테스트의 유형에는 알파 테스트(Alpha Test)와 베타 테스트(Beta Te..
[자격증/정보보안기사(산업기사)]디지털 포렌식의 5대 원칙 이번 2022년도 제2회 정보보안산업기사 실기 서술형에 나왔던 문제다. (정확히 몇 번에서 나왔는지는 시간이 지나서 기억이 나질 않는다.) 다른 내용은 다 적었는데 하필 "절차 연속성의 원칙"을 "책임 추적성의 원칙"이라고 적어버려서 오답 처리되었을듯싶다. (정보보안기사는 평가 기준 등이 철저히 비공개를 고수하고 있으므로 사실상 알 길은 없긴 하지만 말이다.) 위에서 언급한 거처럼 어처구니없이 틀리지 않게 다시 한 번 블로그에 필기해본다. 앞서 디지털 포렌식이란 "합법적으로 디지털 기기에 저장된 증거 등을 추출하거나 발견된 증거를 분석함으로써 법정에서 증거로 활용하기 위한 모든 방법 및 절차"라 할 수 있다. 디지털 포렌식의 5대 원칙 1. 정당성의 원칙 획득한 증거 자료가 적법한 절차를 준수해야 하며,..
[Microsoft Office 365/Excel]이름 정의에서 동적 범위 설정 특정 셀 범위를 지정하고 [수식] - [정의된 이름]-[이름 정의]를 클릭하면 "새 이름"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여기서 이름을 임의로 설정하고 확인하고 나서부터는 특정 셀 범위를 일일이 선택하지 않고 설정한 이름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참조할 수가 있다. 하지만 앞에서 언급한 방식의 이름 정의는 초기에 설정한 셀 범위만 적용 대상이라서 이후에 데이터를 추가로 입력하거나 삭제할 때는 이러한 점이 반영이 되질 않아서 [이름 관리자]에 들어가서 편집을 해야한다. 변경된 셀이 얼마 되지 않으면 변경될 때마다 편집을 해줘도 크게 지장은 없으나 변경되는 셀이 많아질수록 실질적으로 일일이 다시 범위를 지정해주는 작업을 하기란 불가능에 가깝다. 그래서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이름 정의 시 OFFSET()함수를 이용해서..
[한컴오피스/한글]한글(워드프로세서) 프레젠테이션 기능 워드프로세서인 한글도 파워포인트처럼 프레젠테이션 기능이 있다. 물론 전용 프레젠테이션 프로그램인 파워포인트에 비해서는 성능상으로 떨어지는 면이 있으나 애니메이션 효과, 효과음 설정 등 기초적인 기능은 있어서 간단한 PT 문서 작성에는 별문제가 없다. 본인이 군대에 있을 때에는 부대 컴퓨터에 파워포인트가 없어서 한글에서 용지 방향을 세로로 설정하고 문서 작성 후 프레젠테이션 기능을 이용해서 발표를 하기도 했다. 한쇼가 있었긴 하지만 한글에도 프레젠테이션 기능이 있어서 굳이 따로 켜서 작업하기 귀찮아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말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쓰는 버전은 한글 NEO(2016)다. 그래도 해당 기능은 구형인 한글 2007에도 있었던 기능이니 별 상관은 없을 것 같다. 예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