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01회 정보보안기사 필기 24번
24. 바이러스 및 공격으로부터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보호할 수 있는 접근제어, 기기 인증, 통신 암호화, 가용성 등과 같은 보안 요구 사항을 알기 쉽게 나타내도록 IoT용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는 4 계층으로 구성된다. 다음 중 IoT용 SoA 4 계층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어떤 계층인가?
① 센싱 계층
② 네트워크 계층
③ 트랜스포트 계층
④ 서비스 계층
2022년 01회 정보보안기사 필기 시험 24번 문제에 나왔던 내용이다.
OSI 7 계층이나 TCP/IP 4 계층은 교재 등에서 많이 봤는데 IoT용 SOA 4 계층은 처음 들어봐서 이번 기회에 잊어먹지 않기 위해 글을 작성한다.
표 1 IoT SOA 4계층(기능적인 측면)
계층 | 주요 기능 |
감지 계층 | 기존 하드웨어(RFID, 센서, 액추에이터 등)를 통합 |
네트워크 계층 | 기본 네트워크를 지원하고 무선 또는 유선 데이터 전송을 제공 |
서비스 계층 | 서비스를 만들고 관리 사용자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서비스를 제공 |
인터페이스 계층 | 사용자와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상호 작용 방법을 제공 |
여기서 표 1에 나온 것 외에 SOA는 선택된 기술, 비즈니스 필요 및 요구사항에 근거하여 다양하게 고안할 수 있다고 하면서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사물인터넷을 감지(Sensing), 접속(Accessing), 네트워크, 미들웨어(Middleware) 및 응용(Aplication) 계층 등 5가지로 구분하고 또 다른 방식으로 3개의 주요 계층으로 지각(Perception), 네트워크(Network), 서비스 또는 응용 계층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김유진 외 1명(2015, 1월). <사물인터넷을 위한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동계학술대회. 서울:성균관대학교.
'자격증 > 정보보안기사(산업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격증/정보보안기사(산업기사)]디지털 포렌식의 5대 원칙 (0) | 2022.09.30 |
---|---|
[자격증/정보보안기사(산업기사)]바이러스의 세대별 분류 (0) | 2022.06.27 |
[자격증/정보보안기사]2022년도 제1회 정보보안기사 필기 94번 문제 (0) | 2022.03.21 |